갑자기 피부가 빨개지고 가렵다면? 접촉성 피부염일 수도!!!
안녕하세요, 접촉성 피부염을 검색해서 들어오신 여러분. 저는 새로운 화장품이 잘 맞지 않아 얼굴 전체에 접촉성 피부염이 올라왔던 케이스로 한달이 넘는 시간동안 고생했던 케이스인데요,, 그 경험이 너무나도 괴롭고 끔찍해 정보와 제 경험을 섞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본문 중간중간 색으로 표시한 글은 제 경험에서 나온 말이니 참고만 해주시길 바랍니다.

접촉성 피부염의 원인과 증상, 치료 방법
1. 접촉성 피부염이란?
접촉성 피부염(Contact Dermatitis)은 어떠한 특정 외부 물질이 피부에 직접 닿았을 때 발생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을 말합니다. 이 질환은 피부가 자극적인 물질이나 알레르기 유발 물질과 접촉되면서 붉은 발진, 가려움, 부종, 염증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접촉성 피부염은 일반적으로 급성으로 발생하지만, 반복적인 노출로 인해 만성적인 상태로 진행될 수도 있기에 초기에 원인을 잡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접촉성 피부염은 접촉한 물질 자체의 자극에 의해 발생되는 원발성 접촉피부염과 접촉물질에 대해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사람에게만 반응하는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으로 구분됩니다.
2. 접촉성 피부염의 원인과 종류
접촉성 피부염은 자극성 접촉 피부염과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1) 자극성 접촉 피부염 (원발성 접촉 피부염)
발생이 가장 흔한 유형으로, 특정 물질이 피부를 직접 자극하여 염증을 유발
- 원인 물질: 세제, 클랜징, 화장품, 용제(알코올, 아세톤 등), 산 또는 알칼리 물질
- 특징:
- 반복적인 물질 접촉으로 피부 보호막이 손상되며 발생
- 처음 접촉하는 사람도 증상 발생 가능
- 접촉한 부위에서 국소적으로 증상 발생
2)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면역 반응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며, 특정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 피부염이 생기는 증상.
- 원인 물질:
- 금속(니켈, 크롬), 향료, 방부제, 고무(라텍스), 염료, 특정 약물(항생제 연고 등)
- 식물(독성 아이비, 옻나무 등)
- 특징:
- 특정 물질에 대한 면역 반응이 원인
- 처음 접촉 시에는 증상이 없지만, 반복적인 노출 후 발생
- 노출 부위뿐만 아니라 신체 다른 부위에서도 증상 가능
3. 주요 증상
- 붉은 발진(Erythema): 피부가 붉어지고 염증 반응이 나타남
- 가려움증(Pruritus): 심한 가려움증이 동반될 수 있음
- 부종(Edema): 피부가 붓거나 부풀어 오를 수 있음
- 수포 및 진물(Vesicles & Oozing): 심한 경우 물집이 생기거나 진물이 흐를 수 있음
- 각질 및 피부 갈라짐(Scaling & Cracking): 만성화되면 피부가 건조하고 거칠어지며 갈라질 수 있음
접촉성 피부염은 일반적으로 물질에 닿은 부위에서 국한된 증상을 보이지만, 심한 경우 다른 부위로 확산될 수도 있다.
저는 자극성 접촉 피부염에 해당하는 경우로 처음 사용하는 화장품 2가지 때문에 피부염이 발생했는데요, 사람마다 일어나는 이유와 증상이 다르겠지만 저는 메디큐브 각질 필링 세럼과 리뉴얼 된 생로랑 쿠션 두 가지 사용으로 얼굴 전체에 발진, 간지러움, 건조함, 염증, 부음을 동반한 여러 증상이 나타났습니다.
제일 처음 사진은 접촉성 피부염을 한 번도 느껴보지 못했던 피부이고


접촉성 피부염이 제일 심했을 당시입니다. 얼굴 전반적으로 낮, 밤 상관없이 붉은기와 붓는 증상, 간지러움, 건조 증상으로 눈 밑 주름, 볼 간지러움 등으로 얼굴 전체가 부었습니다. 처음 갔던 병원은 음식 섭취 알레르기 같다며 돼지고기와 유제품을 먹지 말라고 했는데요. 음식을 그렇게 줄였음에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아 피부과로 갔습니다.

피부과에서 접촉성 피부염 증상 진단 이후 약 처방을 받아 복용하고, 연고까지 발라주었을때 조금 가라 앉았던 눈입니다. 섭취하는 약으로 간지러움 증상이 크게 잡혀 일상 생활이 가능해질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이때 제일 심했던 오른쪽 눈 밑의 부음, 간지러움 증상으로 생긴 주름은 아직도 복구되지 못하고 그대로 남아있답니다...
4. 진단 방법
접촉성 피부염은 피부과 전문의의 진찰과 병력 조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 피부 자극 검사(Patch Test): 알레르기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특정 물질을 피부에 부착한 후 반응을 확인
- 피부 생체검사(Skin Biopsy): 다른 피부 질환과 감별하기 위해 조직 검사 진행 가능
저는 이러한 검사는 받지 않았고 예약안하고 방문한 피부과에서 2시간 대기 후 원장의 진료 2분으로 끝났는데요, 하.. 그냥 얼굴 상태만 보고 접촉성 피부염으로 진단받았습니다. 뭐, 전문가니까 보기만해도 알았겠죠..?
5. 치료 방법
접촉성 피부염의 치료는 원인 물질을 피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증상 완화를 위한 약물 치료가 병행될 수 있다.
✔ 1) 원인 제거 및 예방
- 자극 물질 회피: 원인을 파악하여 해당 물질과의 접촉을 피해야 함
- 보습제 사용: 피부 보호막을 강화하여 자극 물질의 침투를 막음
✔ 2) 약물 치료
- 국소 스테로이드 연고(Corticosteroid Creams): 염증을 줄이고 가려움을 완화
- 항히스타민제(Antihistamines): 가려움증을 줄이는 데 도움
- 면역억제제(Topical Calcineurin Inhibitors): 심한 알레르기 반응 조절
- 진정제 연고 및 보습제(Emollients & Moisturizers): 피부 장벽 회복
✔ 3) 심한 경우 치료
- 경구용 스테로이드(Oral Steroids): 심한 전신 반응이 있을 경우 단기적으로 사용
- 항생제(Antibiotics): 이차 감염이 동반된 경우 사용
저는 원인이 첫 번째 되었던 각질 필링 세럼 사용을 즉시 중단했습니다. 일주일에 1~2번 사용하던 것이 피부벽까지 손상시킨 것으로 의심이 되어 완전히 회복 후 10일에 1번 사용중인데, 지금은 별 탈 없이 사용중입니다. 두 번째로 기존에 쓰던 생로랑 쿠션이라고 안심하고 리뉴얼 된 제품으로 바꾸자마자 피부염이 올라온거라 후에 성분을 확인했더니 리뉴얼 되면서 성분이 조금씩 바뀌었더라구요. 몇 가지가 바뀌어 정확하게 어떤것에 반응한 것인지 몰라 화장품도 다른 제품으로 바꾸었습니다. 약을 복용하는 기간 동안 정말 순한 제품의 보습 크림을 발라주었는데요 정말 시도때도 없이 발라주었습니다. 너무 증상이 심할때엔 스테로이드 연고도 조금씩 발라주었어요. 피부과 의사 이야기로 스테로이드는 내성이 생기기 쉬우니 정말 얇게만 발라주라고 하였습니다.
6. 예방 방법
- 자극적인 화학 물질과 직접적인 피부 접촉을 피하기
- 세제, 화장품 등을 사용할 때 피부에 알맞은 제품 선택
- 보습제를 사용하여 피부 장벽을 건강하게 유지
-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사전에 테스트하고 회피(새로운 화장품이라면 팔, 손목 안쪽 등에 테스트 하고 사용 하는걸 추천)